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회적기업 프랜차이즈, 영리-비영리 파트너십 비즈니스 모델
    창업 관련 지식/사회적기업 2020. 11. 25. 02:42
    728x90
    반응형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 프랜차이즈 모델 Franchies Model

    프랜차이즈 모델은 성공적인 사회적기업의 원본 또는 원형을 장소를 달리하여 규모화함으로써 사회적가치 확산을 꾀하는 사회적기업의 운영모델입니다.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리적 프랜차이징(가맹) 모델을 응용하되 단순한 영리 추구를 넘어 가맹점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운영모델로 본점의 운영모델을 가맹 매장에게 그대로 적용하여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 모델입니다. 

     

    프랜차이즈 모델은 비즈니스 시스템을 유사하게 복제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확장성과 사회적가치 창출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즈니스는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대하여 걱정하기보다는 사회적기업을 잘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출처 : 아름다운가게 홈페이지

    2002년 3월 NGO단체인 참여연대로 대안사업팀으로 출발하여 독립된 NGO로서 아름다운가게로 정식 명칭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시민들로부터 사용하지 않은 물품을 기증받아 재생산 및 매장 판매를 통해 그 수익금으로 주변의 어려운 이웃과 단체를 돕는 사업을 운영합니다. 프랜차이즈화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실현하여 여러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의 확대를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향상해왔습니다.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 영리-비영리 파트너십 모델 Private-Nonprofit Partnership Model

    영리-비영리 파트너십 모델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관의 협력을 통해 상호 이익을 제고하기 위해 설립되었거나 운영되는 사회적기업의 운영모델입니다. 새로운 사회적기업을 설립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존 사회적기업의 운영에 영리기업과 비영리기관이 협력을 통해 운영에 참여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운영모델입니다. 이 비즈니스모델의 시장은 일반적으로 공공영역이지만 일반 시민과 수혜계층도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자에 포함이 됩니다.

     

    영리-비영리 협력관계는 조인트 벤처, 라이센스 계약 체결 또는 일반적인 제휴관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협력관계 당사자들 간의 목표 고객, 지역공동체, 브랜드, 전문가들과의 관계와 같은 보이지 않은 무형적 가치에 영향을 줍니다.

     

     

    사례1. 에코하우징

    포스코에코하우징은 2009년 포스코가 72억을 출자하여 설립한 기업으로 포스코의 본업인 철강업과 연계된 스틸하우스 제작과 시공, 강건재 단품류 생산, 비내력 건식벽체 제작을 비즈니스 모델로 하고 있으며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기업으로 수익을 대부분을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과 낙후지역 주거개선 등으로 사회 환원하는 사업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사례2. (재)다솜이재단

    (재)다솜이재단은 교보생명과 (재)함께일하는재단이 중장년층 경력단절 여성을 중심으로 한 '교보다솜이 간병봉사단'을 기획한 것에서 시작하여 기업과 비영리재단의 공동협력으로 기업은 경제적 지원과 CS교육, 교재 개발, 워크숍 등의 경영지원 등을 제공하고 다솜이재단은 무료 간병서비스, 유료 간병서비스,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등의 사회서비스를 제공해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startup brothers X AC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