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 시장연계모델 사례창업 관련 지식/사회적기업 2020. 11. 18. 03:02728x90반응형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분석 : 시장연계모델 Market linkage Model
시장연계모델의 경우 대상 집단들(영세 제조업자, 소외계층, 소기업, 현지 기업이나 협동조합 등)과 외부 시장 간에 다양한 거래 관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목적으로 운영되는 모델입니다. 시장연계모델에서의 사회적기업은 다양한 구매자들과 생산자들을 서로 원활하게 교역할 수 있도록 연계시키고 서비스 사용료를 부과하는 중개인으로서의 기능을 가집니다.
시장연개모델은 시장중개모델과 유사하지만 수혜자가 생산한 기초적 재화에 별도의 가치를 부가한 뒤 시장과 중개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연결자로서의 역할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목적의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경제적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장중개모델에 대한 설명은 전에 올린 아래 링크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유형 : 시장중개 모델 사례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빠를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유형에는 일반적으로 9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장
startup-brothers.tistory.com
사례 1 :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오마이컴퍼니
사업운영 내용
> 사회적기업 투자로부터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형태의 사회적경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
> 자금과 고객이 필요한 사회적기업이나 소셜벤처, 후원자가 필요한 NGO단체를 연결시켜주는 크라우드펀딩이 주된 사업으로 시작
> 사업내용(프로젝트)을 동영상이나 사진들을 통해 자세히 안내한 후 투자금액을 모금하여 목표 금액에 미달하면 투자자에게 금액 전부를 반환하고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펀딩을 받은 기업으로부터 약간의 수수료 수익을 얻는 구조
> 다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과 달리 카테고리에 지역재생, 사회이슈 등의 카테고리가 있으며 '투자하기' 뿐 아니라 '후원하기' 형태의 펀딩도 있음
출처 : 오마이컴퍼니 홈페이지 사례 2 : 문화예술 플랫폼 플랫폼
사업운영 내용
> 무명의 작가들의 유무형의 작품들을 웹과 앱 그리고 오프라인 공간을 통해 연결시켜주는 구조
> 웹 상에 작가의 히스토리와 작품 탄생의 히스토리를 사진 및 동영상과 함께 올려주고 그 작가의 물품이 판매되면 그에 따른 일정의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창출
> 앱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작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의 플랫폼으로 역할
> 이와 유사한 플랫폼들은 신진 작가들의 창작활동 지원 및 거래시장 조성, 홍보의 장 마련 및 네트워킹의 역할
728x90반응형'창업 관련 지식 > 사회적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복합, 혼합 유형 사례 (0) 2020.11.2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 서비스보조금 지원, 기업지원, 조직지원 모델 (0) 2020.11.21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비즈니스 모델 사례 (0) 2020.11.17 사회적기업 사회서비스제공형 비즈니스모델 : 유료서비스, 저소득층 시장 모델 (0) 2020.11.1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유형 : 일자리제공형 고용모델 사례 (0) 20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