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유형 : 일자리제공형 고용모델 사례창업 관련 지식/사회적기업 2020. 11. 12. 23:50728x90반응형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분석 : 고용모델 Employment Model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유형으로 시장중개모델과 함께 더불어 사회적기업 유형 중 일자리제공형 사례에 해당되는 고용모델 사례가 가장 많습니다. 우리나라 초기에서부터 현재까지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대부분이 시장을 대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활동을 통해 서비스하는데 일자리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모델입니다.
일자리제공형 고용모델의 경우 대상 집단인 '취업 취약계층'을 고용하고 그 기업 활동을 통해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를 자유경쟁시장에 판매하는 운영형태입니다. 주로 장애인과 저소득 여성, 약물 중독자와 노숙자들의 취업 및 훈련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형태입니다. 발생하는 수익은 다시 취약계층을 고용을 늘림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사회적비용 관련은 운영비 지출에 사용합니다.
사례1. 장애인 고용창출형 장애인 작업장 기업
주요 비즈니스 운영 사례
> 장애인들의 고용 창출을 위해, 일반 토너재생이 아닌 재제조 방식으로 재생 토너 생산 판매하는 비즈니스로 재제조 방식을 택하여 단순하면서도 전문적인 생산라인을 가짐.
>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휴게실과 작업장 환경 개선 등을 실시하면서 선진적인 직원복지를 실현하고 일하는 장애인들의 근로환경 개선과 임금지급 구조 개선을 통해 장애인들 가족들에게 일하고 싶어하는 기업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음
출처 : 유튜브 서울시사회적경제우수기업 사회적협동조합 공감과 연대 유사사례 : (사)윙장애인보호작업장 빵제조 사례2. 북한이탈주민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
주요 비즈니스 운영 사례
> 북한이탈주민, 장애인, 소외계층 등을 주 고용대상으로 이들에게 믿고 오랫동안 다닐 수 있는 일터를 제공하고자 종이(골판지) 박스 제조공장을 운영
> 북한이탈주민(새터민)이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SK그룹, 통일부, 열매나눔재단이 협력하여 설립
> 새터민들에게 사회적응훈련, 조직 및 사업체계 교육, 정보화 교육,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등 복지 서비스 제공을 통해 새터민의 안정적인 정착 지원
출처 : 열매나눔재단 블로그 <메자닌 아이팩 공장의 내부 모습>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고용모델 관련하여 '일자리제공형'으로 사회적기업 인증받기 위해서는 해당 조직의 전체 근로자 중 취약계층의 고용비율이 30%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 취약계층의 범주
-
가구 월 소득이 전국가구 월 소득의 100분의 60 이하
-
고령자 : 만 55세 이상인 고령자
-
장애인 :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로 장기간에 걸쳐 직업 생활에 제약이 있는 자
-
성매매 피해자
-
청년 or 경력단절여성 중 고용촉진장려금의 지급 대상이 되는 사람
-
북한이탈주민
-
가정폭력에 따른 피해자
-
한부모 보호 대상자
-
결혼이민자(혼인관계에 있는 재한외국인)
-
갱생보호대상자 : 형사 처분 또는 보호 처분을 받은 사람
-
범죄피해자 : 범죄행위로 피해를 당한 사람의 가족
-
기타 : 1년 이상 장기실업자, 보호관찰 청소년, 노숙인, 알코올 및 도박중독자, 희귀난치병, 여성실업자 중 여성가장, 난민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유형 : 시장중개 모델 사례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빠를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유형에는 일반적으로 9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장
startup-brothers.tistory.com
728x90반응형'창업 관련 지식 > 사회적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비즈니스 모델 사례 (0) 2020.11.17 사회적기업 사회서비스제공형 비즈니스모델 : 유료서비스, 저소득층 시장 모델 (0) 2020.11.1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유형 : 시장중개 모델 사례 (0) 2020.11.11 사회적기업 미션선언문 : 소셜미션, 비즈니스 모델 연계 (0) 2020.11.08 사회적기업 소셜미션 : 사회적가치 창출 구체화 with 소셜픽션 워크숍 (1) 2020.11.07 -